天眞菴聖地

바로가기메뉴
주메뉴바로가기
서브메뉴바로가기

유틸메뉴


주메뉴


서브메뉴

이번주 풍경소리

  • 이번주 풍경소리
성금 봉헌 안내시복시성 추진성지안내 조감도

본문내용

글자 작게 하기글자 크게 하기
  1. 이번주 풍경소리


만천유고(蔓川遺稿)는 위작(僞作)일 수 없다. 공부 더하고 논해야 한다.
만천유고(蔓川遺稿)는 위작(僞作)일 수 없다

-아래 글은 35여년 전, 1979년. 9월호, 월간, 天眞菴, 제17호에 실려 있는 글이다.-그 당시에는 천진암 성지와 한국교회 창립사에 관련된 용어들이 아직 정리되지 않아서, 지금과 좀 다르게 쓰여져 있음을 염두에 두고 읽어야 한다.- 교회역사학과 문헌고증학은 분야가 다르며, 최근 우리사회의 言論이라기 보다 선동용 惡論과는 거리가 멀다. 한문 족보 한장 제대로 독해하지 못하는 실력으로, 한문 문헌 고증도 아닌 선동악론의 본을 받아서는 안될 것이다.
 
우선 먼저, 만천유고의 올바른 독해를 위하여 30년 여년 전 글을 다시 올리기 전에, 글 뜻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하면 무식하고 용감할 수는 있으나, 남에게 피해를 줄 수도 있음을 동시에 알리고자 한다.
 
 * 某 신부가 전에 황사영 백서에 황진사가 빼먹고 잘못 쓴 글자들이 있다고 하여, 원문의 한두곳을 개작하여 발행하였다가 망신을 당한 적이 있었다. 정약용, 황사영, 이승훈, 이벽, 이재의, 정하상, 등은 오늘의 우리보다 한문학에 능통한 천재적인 대가들임을 알고, 겸손하게 먼저 배우고 나서, 논평을 해야 할 것이다. 만천유고 발문의 명문장 첫 줄, 첫머리부터 이해하지 못하고, 오역을 하는 한문 독해 실력으로, 성교요지 한페이지라도 독해할 수 있는지 묻고 싶다. 이 시대에 좀 진솔하고 겸손해야 하겠다.
 
*  某신부가 몇 년 전(1999 년 ?) 정하상의 '上宰相書' 를, 결코 오타로 볼 수 없는, 총서 번역판의 겉 표지의 큰 글씨와 발행자 난의 잔 글씨와, 또 속 표지의 글씨에까지, '上宰'라고, 제호까지 개작하여 낸 적이 있었는데, 宰臣과 相臣을 통칭하는 宰相이라는 말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를 모르고, 말도 글도 안되는 없는 벼슬, 上宰에게 上하는 글이라고, 역사 지식과 국어 지식의 무식을 들어내면서까지, 정하상의 글 제목 자체를 개작하여 책을 낸 적이 있었다. 기가 막혔다. 정하상의 무식을 폭로하면서, 자신의 유식함을 알려서, 히트를 치려고 하지 않았나 의심이 갈 정도였다.
 
* 또,1969년도에,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소장 이숭녕 박사)의 몽고어 전문학자 김방한 교수가 책임을 맡아 발행한, [임진난사 외 국외자료]는 북경 교구장 알렉산델 구베아 주교의 보고서(이태리어) 번역을, 오기선 신부님을 통하여, 필자에게 부탁하였다. 필자가 번역 후 한글 주해까지 추가하였고, 임진왜란에 대한 기록 후편 부분은 후배 성염이 맡아서 번역, 발행 후, 2년 후에서야 문교부의 예산 영달로 원고료를 받았는데, 2000년 성년이 지나서(?), 30여년 후, 某신부가 영국 옥스포드 대학(?) 고문서에서 한국교회 창립사의 귀중한 자료를 찾았다고, 평화신문, 가톨릭신문, 등 첫면에 대서특필로 발표된 적이 있었다. 국내 대학교 도서관에는 이미 실크-하드-커버로 된, [임진난사 외 국외자료]가 번역되어 나온지 30여년 후이다. -이하 생략-
 
-아래 글은 1979년. 9월호, 월간, 天眞菴, 제17호에 실려 있는 글인데, 그 당시에는 한국교회 창립사에 관련된 용어들이 아직 정리되지 않아서, 지금과 좀 다르게 쓰여져 있음을 염두에 두고 읽어야 합니다.- 
 
 
- 만천유고(蔓川遺稿)는 위작(僞作)일 수 없다 - 첫 문장독해나 제대로 하고나서 거론해야 한다! 
 
한국천주교회 창립의 주역 이벽선생의 천주공경가와 성교요지가 실려 있는 만천유교의 진위(眞僞)는 시비(是非)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이벽 선생의 성교요지(聖敎要旨)와 천주공경가(天主恭敬歌)가 실려 있는 만천유고(蔓川遺稿)가 사학징의(邪學懲義)의 말미(末尾)에 나오는 교회 초기의 서적 목록에 들어 있지 않다고 하여, 이 만천유고가 위작(僞作)이 아니냐고, 이의를 제기하는 이가 있다는 것은 정말 서글픈 일이다. 만천유고를 직접 들여다보고 나서도 그 진위에 대하여 이러쿵저러쿵 불신과 회의를 퍼뜨리는 이가 있다는 것은 한국천주교회 역사를 정립하는 일에 있어 매우 섭섭한 일이다. 더구나 그 만천유고에 실려 있는 성교요지를 크게 다루면서 쓰여진 박사학위논문이 2 편씩이나 나왔는데도(2014년 현재까지는 6편),물론 한문독해 과정에서 다소간의 결함이 없지 않아, 이하에서 감히 불가피하게 수정보완하고자 하지만) 계속하여 문제 삼는 것은 확실히, 진지하게 연구해보지는 않았다 손치더라도, 적어도 유심히 읽어보기나 하고서 이야기해야 되지 않겠느냐는 말을 들어야 마땅하다고 하겠다. 그러면 이제 만천유고의 진위에 대하여 몇 가지 견해를 보충해서 말해보기로 하자.
 
우선 만천유고에 나오는 이벽선생의 성교요지를 유심히 읽어보면, 이벽 선생이 아니고는 아무도 그러한 저작(著作)을 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닫지 않을 수 없을 만큼, 그 성교요지의 내용은 천주교 교리에 대한 지식과 동양학에 관한 학식이 풍부한 사람의 작품이라는 것을 직감하게 된다. 솔직히 말해서 200년 전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아니 한반도 5천년 문화사(文化史)에 있어 이 같은 작품을 쓸 수 있는 사람이 누구이겠는가? 당장 지금 우리나라 학계의 가장 저명한 교수와 학자들을 총동원해서 이와 같은 작품을 쓰라고 한다면 쓸 만한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 미안하고 건방진 이야기일지 모르지만 아무도 없을 것 같다.
 
그러므로, 200여 년 전에 대학자 권철신이나 권일신, 정다산 3형제 등을 설득시켜 천주교에 입교시킨 이벽선생이 아니고는 이런 작품을 쓸 수 있는 사람은 전에도, 지금도, 또 앞으로도 없으리라고 믿는다. 이 성교요지 하나만 보더라도 그 자체로 만천유고는 도저히 위작일 수가 없는 명작 중의 명작이 아닐 수가 없다. 만일 이 성교요지를 누가 장난삼아 거짓으로 지었다면, 이 정도를 거짓으로 장난삼아 짓는 사람이라면, 이벽 선생보다도, 정다산 선생보다도 훨씬 더 박학하고 위대한 학자이며, 신앙인이며, 신학자이며, 문학인이 아닐 수 없다. 그러니 성교요지와 그 성교요지가 실려 있는 만천유고는 그 내용 자체가 자체를 입증하는(즉 자증(自證)하는)것이라고 확신한다.
 
혹자는 성교요지라는 책 이름이 사학징의 끝에 나오는 그 많은 요화사서 소화기(妖畵邪書燒火記) 목록에 없으니, 믿을 수가 없다고 하는데, 이것은 일반신자들의 신앙심 전파를 위한 서적들(예를 들면, 천주교 요리책, 고해성사 보는 법 등)과, 학문적이며 사상적인 시문집(詩文集)이 왜 함께 일반신자들 대중 속에 똑같이 보급되지 않았느냐고 하는 답답한 말이나 마찬가지다.
 
또 만천유고에 실려 있는 여러 가지 시문(詩文)에 나오는 지명(地名)과 인명(人名)들이 모두가 실제로 여기 저기 현존하는 것들이다(예를 들면, 주어사(走魚寺), 앵자현(鶯子峴), 무수동(無愁洞), 용비굴(龍飛窟), 신이교(辛夷橋), 이총억(李寵億), 권상학(權相學), 선암 정약종(選菴 丁若鍾), 이덕조(李德祖), 광암(曠菴), 천학초함(天學初函), 등). 이 모든 명칭 중에서 한국천주교 발상지 천진암 부근에 있는 곳들은 필자가 직접 답사하여 보았거니와, 결코 누가 거짓으로 꾸미기 위하여 이 모든 장소를 다니면서 시(詩)를 지었으리라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이승훈 선생의 호가 만천(蔓泉 혹은 蔓川)이라고 하는 한문 글자에 있어서 문제가 있는데, 이에 대한 필자의 견해는 다음과 같다. 초기교회 당시에는(200여 년 전후해서) 출신지역이나 연고가 있는 지역의 산수(山水)이름을 따서 호를 쓰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예컨대, 삿갓우물 마을(笠井洞)에 살던 지황(池瑝)을 관천(冠泉)이라고 부르던 일이나, 정약용 다산이 처음에는 자기 집 앞강의 물 기운이 거셈을 따서 열수(烈水)라고 했던 것처럼, 이승훈 선생이 살던 마을의 앞 냇갈, 즉 중림동에서 청파동으로 하여 새남터로 흘러 들어가던 냇가를 가리켜, 당시에는 덩굴풀이 우거져 있다해서 덩굴내(蔓草川)라고 불렀으니, 여기서 만초천(즉, 덩굴풀「만」(蔓)이라는 글자는 이미 풀초(草)라는 글자를 겸하여 가지고 있으므로, 草라는 글자를 빼버려도 뜻이 같고, 발음은 간단하고 쉬우므로)을 만천이라고도 하였으니, 이승훈 선생을 만천이라고 부르는 것은 여기서 유래된 것으로 믿어도 큰 잘못은 아니리라고 생각한다.
 
그러면 사학징의에는 왜 만천을 한문으로 晩泉이라고 기록하였는지 의문이 나겠지만, 사학징의에는 마치 남한산성에서 순교한 한덕운(韓德運)을 우덕운(禹德運)이라고도 썼듯이, 또 사학징의 171면부터 192면까지 나오는 많은 순교자나 유배자들의 이름을 기록해 나가는 것을 읽은 사람이면, 그 기록자가 얼마나 무성의하게, 權哲身도 權鐵身으로, 그저 부르는 대로, 자기 멋대로 써 나갔음을 깨닫게 되듯이, 또 사학죄인들의 이름을 뭐 그리 정성들여 쓸 필요가 있었으랴!, 사학징의에 나오는 공서파(功西派)의 기록보다는(적어도 이름에 관한 한), 만천유고의 편집자(다산 정약용으로 추정함이 마땅함)의 기록을 더 믿어야 할 것이다. 혹은 여러 가지 다른 이유로(예컨대, 심문을 당할 때, 일부러 한문 글자를 바꾸어서 자신의 호를 대어줄 수도 없지 않으니까) 글자가 바뀔 수도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 만천유고의 내력을 알려주는 열쇠와도 같은 문맥은 바로 만천유고 맨 끝에 나오는「발문(跋文)」이다.
 
이 발문은 요즈음 나오는 책으로 말하면 「머리말」에 해당되는 것이므로 만천유고의 저자나 편집자가, 그 편찬동기, 편집연대 등을 아는데 가장 중요한 열쇠가 되는 것이며, 만천유고에 실려 있는 천주공경가나 십계명가, 또는 성교요지의 제목 바로 밑에 붙인 간단한 해설문도 이 발문을 쓴 편집자의 글이며, 또 글이어야 한다는 것쯤은, 이를 읽는 이들에게 쉽게 납득이 가는 일이다(물론, 각 詩나 作文의 제목 밑에 붙인 주해가 다른 이들의 첨가한 필치로 볼 수 있는 것도 없지는 않지만).
 
그러므로 이 발문의 번역은 매우 중요한 것인데, 필자가 보기에 지금까지 3차례나 이용한 학위논문에 제시된 번역 일부 문장들에 대한 독해가 너무나 잘못되어 있고, 또 단행본에서도 역시 오역(誤譯)이 계속되고 있을 뿐 아니라, 오역이 다시 거듭거듭 다른데 인용되어 가고 있음을 보고만 있을 수 없으므로, 부득이 필자의 전문분야는 아니지만, 여기에 그 원문과 번역문들과 함께 필자의 새 번역문 그리고 구절 귀절에 대한 주해를 붙여서 밝히고자 하며, 이 만천유고와 그 안에 있는 성교요지 내용의 번역에 관해서는 다음으로 미루고, 우선 발문에 관한 것만 부득이 되살펴 보겠다. 사실, 이 만천유고와 그 발문이 한국천주교회 기원사(창립사)와 이벽선생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지니는 중요성은 자못 크므로, 오역의 중복되는 인용을 중지시키는 동시에, 이를 바로잡아 보려는 시도는 필요하고 시급한 것임을 누구나 식견 있는 이라면 즉시 깨닫게 될 것이다.
 
<원문>
 
『平生囚獄死免於出世三十餘星霜江山依舊靑空白雲不變影先賢知舊何處去哉不接木石之身勢轉轉倒處中憶不意移世蔓川公之行蹟儷文不少矣然不幸於燒失一稿不得見千萬意外詩稿雜錄片書有之故劣筆於抄記曰遺稿遺稿東風解凍枯木逢春芽葉蘇生之格此亦上主廣大無邊攝理宇宙眞理如是太極而無極醒覺者如接上主之意也. 無極觀人』
 
<원문>
 
여기서 K 저자의 논문에서는 불의이세(不意移世)를 불의이야(不意移也)로 원문뿐 아니라 번역문까지 엉뚱하게 옮겨졌는데, 이는 매우 잘못된 것이다. 이 원문에 대한 첫 번째 번역문(K저자의 논문 발췌번역판에 나온 것)은 다음과 같다.
 
 
「평생(平生) 옥사(獄事)로 인한 죄인(罪人)으로 지내다가 겨우 죽음만을 면하고, 30여년 만에 세상(世上)에 나오니 산천(山川)은 옛과 다름없고, 푸른 하늘 흰 구름은 변(變)함이 없는데 어진 선비들과 지우(知友)들은 어디로 가 버렸는가? 목석(木石)의 신세(身勢)만도 못한 불쌍한 신세(身勢)로 도처를 전전하였으니, 오호라! 다시 세상에 나갈 뜻을 잃었도다. 만천공(蔓川公)의 행적(行蹟)과 아름다운 글들이 적지 않았는데 불행히도 모두 소실(燒失)되어 일고(一稿)도 얻어 보기 어렵더니 천만의외(千万意外)로 몇 편의 시고(詩稿)와 잡록(雜錄)이 남아 있어 그 연고로 졸필로써 초(抄)하고 기록(記錄)하여서 만천유고(蔓川遺稿)라 이름 하였다. 동풍(東風)이 불면 얼음이 녹고 새로운 잎이 싹트고 봄이 오면 만물이 새로이 소생(蘇生)함이 상주(上主)의 광대무변(廣大無邊)한 섭리(攝理)로다.
모든 우주진리(宇宙眞理)가 이와 같으니 태극(太極)과 무극(無極)의 차이를 크게 깨닫는 자(者)는 上主의 뜻에 접함과 같음이니라.」<無極觀人>
 
  다음에 위의 동일한 원문에 대한 L저자의 학위 논문에 제시한 두 번째 번역은 위의 첫 번역과 중요한 부분이 전혀 상반되는 뜻으로 옮겨졌다. 동일한 한문 문귀에서 전혀 상반되는 번역이 교묘하게 가능한 경우도 없지는 않지만, 이 발문에서는 도저히 두 가지가 나올 수가 없다.
 
 
「평생을 죄인으로 지내다 겨우 죽음만을 면하여 세상에 풀려 나온 지 어언 30여 성상이 되었다. 강과 산은 옛 그대로이고 푸른 하늘과 흰 구름도 그림자 하나 변하지 않았으나 옛 선현과 벗은 어디로 갔는고.
나무와 돌의 신세가 되어 세상에 붙이지 못하고 이리저리 흘러 다니던 중, 슬프다! 모두 뜻밖에 세상을 떠났구료! 만천공(蔓川公)의 행적과 아름다운 글이 결코 적지 않으나, 불행히도 불에 타 버리어 한 편의 글도 얻어 보기가 어렵더니 천만 뜻밖에도 시고(詩稿)와 잡록(雜錄)과 몇 조각의 글이 남아 있기에 내 비록 졸렬하게나마 초(抄)하여 기록하고 만천유고(蔓川遺稿)라 이름 하였다. 이는 마치 봄바람에 얼음이 풀리고 마른 나뭇가지가 봄을 만나 새 눈(芽)이 트는 것과 같은 것이니 태극(太極)이 곧 무극(無極)이요, 마치 잠자다 깨어난 사람이 하느님의 뜻에 접한 듯하도다. 무극관인」
 
***********************************
 
   이제 필자의 새 번역을 시도하기 전에 오역을 피하기 위하여(맨 끝에 나옴), 우선 원문에 대한 띄어 읽기와 각 구절의 배경을 더듬어 볼 필요가 있다. 우선 먼저 이 원문을 현대어로 알아듣기 쉽게 번역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띄어서 읽는 것이 오역(誤譯)을 피하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이 띄어 읽기에 틀리면 번역도 틀리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平生囚獄에 死免於出世하니, 三十餘星霜에 江山은 依舊하고, 靑空白雲은 不變影인데, 先賢과 知舊는 何處去哉(하처거재)아인고! 不接木石之身勢로서 轉轉倒處中(전전도처중)일 째, 憶! 不意移世였구나!
蔓川公之行蹟에는 儷文不少矣然이련마는, 不幸으로 於燒失하여 一稿라도 不得見이러니, 千萬意外로 詩稿雜錄과 片書가 有之故로, 劣筆이나마 於抄記하여, 曰蔓川遺稿라 하노니, 東風에 解凍하고, 枯木이 逢春하면 芽葉이 蘇生하는 格으로, 此는 上主의 廣大無邊攝理也로다. 宇宙眞理가 如是하여, 太極而無極임을 醒覺하는 者는 上主之意와 接함과 如하도다. 無極을 觀하는 者가 썼다.』
 
주해
 
● 평생수옥(平生囚獄) - 「한 세상 살아가다가 보니 어쩌다가 죄수생활까지도 하게 되었다.」는 뜻이지, 결코 「평생을 온전히, 다 」라는 뜻이 하니다.
 
赦免於出世 - 죽음을 모면하였을 뿐 아니라, 한 걸음 더 나아가서는 마침내 다시 이 세상에 나올 수 있게까지 되었다는 뜻이다.
 
● 삼십여성상(三十餘星霜) - 이 「삼십여성상」은 기간을 말하는 독립부사적(獨立副詞的) 어귀이지, 결코 위의 死面於出世에 붙이거나, 혹은 더 올라가서, 平生囚獄에다가까지 붙여서 읽어서는 안 된다. 지금까지 학위 논문에 나온 번역에서 큰 오역(誤譯)을 하게 된 것은 바로 이 점 때문이다.
 
 혹자의 번역대로, 「죽음만을 면하여 세상에 나온 지 어언간 30여 년이 지났다.」고 번역이 되려면, 원문이, 死免於出世後三十餘聖霜」이라고 되어야 하며, 또 다른 이의 번역대로, 「평생을 감옥생활로 보내다가 30여 년 만에 세상을 나와보니,라는 번역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平生囚獄三十餘聖霜死免於出世」라고 되어 있든가, 아니면 「三十餘聖霜囚獄死免於出世」라고 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 무극관인이 말하는 「30여 년」이란, 죄수로서의 감옥생활 기간도 아니고, 그렇다고 석방된 후부터 이 발문을 쓰는 당시까지의 기간도 아니고, 오로지 스승과 벗들이 없어진 후부터 이 발문을 쓰는 당시까지의 기간을 말하는 것이며, 이 기간에도 강산은 변하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된다.
 
즉 1801년 신유박해 때부터 30여년이 지난 후(즉 1830년경에 이 발문을 쓰고 있다고 봐야 한다.)를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서 좀 부연할 것은, 이 발문을 쓴 무극관인을 다산 정약용으로 본다면(H저자, 저자, L저자의 견해에 필자도 동감이고, 또 다각도로 이 만천유고를 검토하여 보면, 다산 정약용일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 나오게 된다. 예컨대, 30여년 언급이, 정약용의 천진소요집(
天眞消搖集에 이미 3차례나 나오는데, 그 거론의 배경과 내용이 만천유고 발문에서와 같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발문은 정약용의 글로 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다산은 신유박해(1801년)때 강진으로 귀양가서 1818년에 석방이 되어 고향 땅 마재로 돌아왔으며, 1836년에 세상을 떠났다. 그런데, 권철신, 이승훈 등이 1801년 신유박해에 세상을 떠났으며, 이때에 유일하게 살아남은 다산이 (그 형 약전은 흑산도 귀양 중에 우이도에서 세상을 떠나 그 시체를 나주로 옮겨서 관을 만들어 모셔 가지고 충주에 있는 가차산면 하담리 마을 나주정씨 종종산 선영의 동쪽 한 옆에 있는 작은 언덕에 정남향(正南向) 즉 자좌(子坐)로 묘를 썼다.) 1830년경에 이 발문을 쓰면서 회고하는 것이니, 다산은 1836년에 마재에서, 그 당시 팔당 아래 구산에 있는 순교복자 김안당의 집에 머물고 있던, 중국인 여항덕 신부에게서 종부성사를 받고 세상을 떠났으므로, 다산은 수옥(囚獄) 생활 18년을 했고, 석방 후에 18년간을 더 살았으므로, 위의 「三十餘聖霜」을 번역할 때, 평생수옥(平生囚獄)에 결부시켜서, 「30여 년간 감옥생활을 했던 것]으로 하거나, 혹은, 「석방 후 30여 년이 지나서 발문을 쓰는 것」으로 하면 둘 다 큰 오역(誤譯)이 아니 될 수 없다.
30여 년간 감옥생활을 했던 것]으로 하거나, 혹은, 「석방 후 30여 년이 지나서 발문을 쓰는 것」으로 하면 둘 다 큰 오역(誤譯)이 아니 될 수 없다.
 
결국 이 「삼십여성상」이란 만천공 이승훈과 선현(先賢)으로 의미된 권철신 등이 세상을 떠난 1801년(이벽 선생은 1785년에 세상을 떠났음) 이후부터 1830년까지를 말하는 것이다. 이 발문을 쓴 무극관인을 다산이라고 말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대목은 바로 이 삼십여성상이며, 이를 필자의 번역대로 아니하면서, 무극관인을 다산이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 강산의구(江山依舊) - 정약용 다산이 지금(1979년)쯤 이 발문을 쓴다면 이런 표현을 못 쓸 것이다. 왜냐하면 마재 부근은 팔당 댐이 막히면서, 소내장터(召川) 마을이 침수되어 영원히 강 속으로 사라졌고, 강산이 많이 변해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1818년 강진 귀양에서 돌아왔을 때는 山川에는 아무 변화가 없었을 것이다. 즉 다산이 소내사시사(召川四時詞)에서 읊은 검단산(黔丹山)과, 소내(召川), 앵자산(鶯子山)과 천근봉(天近峯)을 떠도는 흰구름, 두미협(斗尾峽)의 물살, 등을 말한다.
 
● 선현지구(先賢知舊) - 어질던 스승님들과 선배들, 즉 권철신, 이벽, 권일신, 이방익(李防翼=정약용 다산에게 한문을 가르친 스승으로 아랫두미 마을에 살던 훈장(訓長)이며, 전주이씨이다.) 등을 선현으로 표시한 것이고, 지구는 이승훈, 이가환, 이총억 등 절친한 친구들을 의미한다.
 
● 부접목석지신세(不接木石之身勢) - 집을 지을때, 지우들(목수(木手))이 톱으로 잘라 버려낸 나무토막, 즉 서까래나 중방 끝에서 잘라버린 토막으로, 아무데도 쓸데없어서 발끝에 채이며 굴러다니게 되는 토막들과, 구들장이나 주춧돌로 쓰이지도 못하고, 중방 쌓는 데도 못써서, 역시 이리저리 발끝에 채이며 굴러다니는 돌덩이와 나무토막에 자신을 비유한 것이다. 배교선언을 한 다산은 천주교신자들, 즉 남인계 신도들편에도 끼이지 못하고, 그렇다고 새로이 정권을 잡은 반대파, 즉 공서파(攻西派)에도 들지 못하여, 아무데도 접(接)해 있지 못한 처량하던 신세를 의미하는 것이다.
 
● 전전도처중(轉轉倒處中)일때 - 「이리저리 굴러다니며 거꾸러지기도 하고 쳐박히기도 하면서 떠돌아다니던 동안에」의 뜻, 즉 정조가 죽은 후, 살얼음을 밟고 사는 듯 하다고 하여, 여유당이라고 당호를 붙일 정도로 살벌한 분위기에서 낙향한 신세였다가, 강진으로 귀양 가서 지내던 모습을 말한 것이다. 이 발문의 시작에서 여기까지의 주어(主語)는 무극관인 자신이다. 즉 자신이 굴러다니며 고생하느라고, 벗들이 세상 떠나는 것도 모르고 있었다는 이야기다. 서양 말에서와 달리, 한문에서는 한두페이지에 가득찬 글에도 주어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 억(憶)! - 슬프다. 애닮으고나!
 
● 불의이세(不意移世) - 이승훈과 권철신 등 선현지구(先賢知舊)가 세상을 떠난 것은 不意의 일이라는 것이다. 병으로 인한 자연사망이 아니고, 천주교 박해라는 타의에 의한 불의의 죽음이었다.
 
● 만천공지행적(蔓川公之行蹟) - 만천공 이승훈의 행적 업적과 발자취를 말한다.
 
● 려문불소의연(儷文不少矣然) - 빛나는 문장, 儷文體의 글들이 적지 않으련마는 그러나…. 여기서 의연(矣然)은 「~할 따름이지만 그러나 ~」의 뜻이다.
 
● 불행어소실(不幸於燒失) -「불행히도, 심지어는 불에 타버리기까지 하여서」의 뜻이다. 「於燒失」은, 「급기야는 불에 타서 잃게까지 된 적이 있다」는 뜻으로, 특히 이승훈의 아버지가 이승훈의 천주교 서적과 천주교관계 저작물들을 모두 불사른 적이 있었는데, 이런 일들을 두고 하는 말이다. 왜냐하면 戰亂이나 火災로 인한 燒失이라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 일고불득견(一稿不得見) - 만천공의 「친필원고 한 장이라도 얻어 보지 못하다가」의 뜻이다. 「~不得~」은 「~하나라도 얻어 ~하지 못 한다」는 의미다.
 
● 천만의외(千萬意外) - 박해로 燒失되고 죽고 한 후 30여 년이 지난 그 당시에, 매형 만천공의 유고(遺稿)를 발견했다는 것은 사실상 천만 뜻밖의 일이 아닐 수 없으리라고 본다. 특히 앵자 마루에서 지은 詩나 용비굴에서 지은 詩, 같은 것은 이승훈과 그 동료들이 천진암과 주어사에서 강학회 하던 전후이므로(1780년 봄의 시) 1779년 전후의 작품들인데, 이는 천만 뜻밖의 일이 되는 것이다.
 
● 시고잡록편서(詩稿雜錄片書) - 시, 원고와 갖가지 적어 두었던 비망기. 토막글들을 말한다. 사실 만천유고에 들어 있는 것들은 글자 그대로 詩稿 雜錄의 片書라고 할 수밖에 없다.
 
● 유지고(有之故) - 있는 연고로, 있기 때문에.
 
● 졸필어초기(劣筆於抄記) - 졸필이지만 간추려 뽑아 베껴서.
 
● 왈만천유고(曰遺稿遺稿) - 가로대 「만천유고」라 하노라. 즉, 「만천유고」라고 해놓는다. 만천공의 행적부터 여기까지가 이 만천유고의 내력과 배경을 말하는 것이고, 다음부터는 또 자신의 소감을 말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 동풍해동(東風解凍) - 여기 하필이면 南風解氷이라고 하지 아니하고, 동풍해동이라고 표현했을까. 물론 문학적으로 동풍해동이 가끔씩 쓰여지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여기서는 특히 다산이 귀양 갔다가 풀려나오게 되는 그 배경과 과정이 궁중의 政変(정변)과 직결된, 정변의 결과이기 때문으로 볼 수도 있으니, 즉 정조가 죽고 어린 순조가 즉위하였는데, 이 순조야말로 말만 임금이지 너무 어려서 김대비의 섭정을 받고 있었다. 헌종이 즉위한 후, 다산은 강진에서 18년 후에 풀려나오는데, 결국 자기의 귀양을 凍事에 비긴다면 귀양이 풀리는 것은 바로 東風에 解凍하는 것으로 묘사함이 가장 적절한 표현이 아니겠는가? 그리고 대자연의 환경면에서도, 다산 정약용이 살던 능내리 마재는 양평 쪽에서 불어오는 동풍에 의해서 앞강 얼음이 풀리고 봄이 오게 되어 있으며, 마포와 미사리쪽에서 불어오는 서풍과 함께 초겨울이 들어 닥치게 되어 있다.
 
● 고목봉춘(枯木逢春) - 늙어서 거의 다 죽어 썩은 나무가 봄을 만나면」즉, 자신과 권철신, 이승훈 등의 처지를 枯木에 비유한 것이다.
 
● 아엽소생지격(芽葉蘇生之格) -「새싹이 트는 격으로」남들이 다 늙고 썩어서 죽은 줄 알았던 고목도 겨울이 지나고 봄을 만나면 새싹이 트는 것 같이, 신유박해로 일망타진된 남인파의 자기들에게도 뿌리는 있으니, 이제부터 새싹이 트기 시작한다는 이야기다.
 
● 차역(此亦) - 이 역시의 「이(此)」는 “동풍해동부터 아엽소생”까지의 대자연의 현상을 말한다.
 
● 상주(上主) - 왜 하필이면 上主라는 표현을 쓰는가, 전에 王을 上이라는 표현만으로 썼었으나, 위의 자연현상은 바로 王 정도의 地上的 人力이나 權力을 넘는 天主 즉 上主에 의한 것임을 더욱 두드려지게 실감시키는 표현이다. 특히 우부승지나 좌부승지(오늘날의 대통령 특별보좌관에 해당되던 벼슬)로서, 왕을 모시고 측근에서 벼슬살이 하던 다산이 만년에 와서 자신이 쥐고 있던 바로 같은 권력이 남의 손에 넘어가자 바로 그 권력에 의해서 귀양살이까지 하고난 일체를 되돌아보면, 자신이 모시던 主君이란 말 보다 上帝나 天主보다도 上主라고 표현하는 것은 얼마나 合當한 것이랴!
 
● 광대무변(廣大無邊) - 집권자들의 작고 좁은 답답한 심리보다, 神의 大自然을 다스리는 섭리는 얼마나 넓고 크고 끝이 없는 것인지를 절감한 표현이다.
 
● 섭리(攝理) - 손으로 하나하나 잘 제자리에 놓고 붙들어 주는 이치, 즉 안내의 손길이다. 하느님의 안배를 말한다.
 
● 우주진리(宇宙眞理) - 온 우주 내의 모든 참된 이치, 특히 원형이정(元亨利貞)은 천도지상(天道之常)이요 인의예지(仁義禮智)는 인성지강(人性之綱)이라는 우주 안의 모든 참된 이치를 말한다. 대자연계의 물리적 원리뿐 아니라, 인간세계의 윤리적이면서도 철리적(哲理的) 원리도 말하는 것이다.
 
● 여시(如是) - 여기서의 是는 이 발문의 첫머리 평생수옥사건부터 시작하여 아엽소생지격까지, 모든 내용의 문장을 묶어서 지칭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 즉 귀양생활 떠나던 일, 20 여년(정확히 18년) 후에 풀려 나온 일, 스승과 벗들이 죽은 일, 종이 한 장 안남아 있을 줄 알았던 만천공의 글들이 그래도 이정도 少時적 작품의 일부까지 남은 일, 동풍에 얼음이 녹고 고목에 봄이 온듯한 일, 등을 모두 가리키는 문장지칭으로 봄이 옳겠다.
 
● 태극이무극(太極而無極) - 이 말은 송(宋)나라 때 도학(道學)의 대가(大家)인 주염계(周濂 溪, AD.1017~1073)가 한 말로서, 우주의 근원을 설명하는데 쓴 표현인데, 주염계는 음양오행의 생성과 인간윤리의 원리를 함께 추구하여, 우주론과 원리론을 일원론적으로 통일성을 띠고 설명해 나가고 있었다. 즉 태극에서 음양으로, 음양에서 사상(四象)으로, 사상에서 팔괘(八卦)로, 팔괘에서 만물이 되어 나오는 순서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태극을 有限의 세계에 관한 것으로 보고 무극을 無限의 세계에 관한 것으로 보면서, 우주론을 세워 설명하고자 하는데 쓰여 진 표현이다. 쉽게 풀어 말하면, 위에서 말한 우주 진리, 즉 원형이정과 인의예지의 원리가 본원적인 점에서 같은 것이니, 곧 물리(物理) 와 철리(哲理)는 동일한 근원에 의한 것이라는 뜻이다. 즉, 무극은 절대무한자(絶對無限者=aeternum infinitum)를 의미하는 것이다. 필자의 생각에는 태극이나 무극이란 표현을 최초로 쓴 사람 자신도 오늘의 우리보다 더 명백한 의미를 깨달을 수도, 느낄 수도 없었을 것으로 본다. 그 이유는 원래 이러한 표현들은 인간 사고력의 한계 저 너머에 있는 그 무엇을 어렴풋이나마 짐작하면서, 인간능력의 한계 너머에 있는 경지를 기웃거리며 표현해 보려고, 우리 인간들이 몸부림치는 흔적들이기 때문이다.
 
● 성각자(醒覺者) -「태극이 무극임을 느끼고 깨닫는다는 것」이라는 뜻이다. 즉 잠에서 깨어 일어나 태극이 바로 무극임을 깨닫는다는 것은 천주의 뜻을 깨닫고 그 뜻에 연접(連接)함과 같다는 의미다.
 
● 무극관인(無極観人) - 영원한 절대 무한(永遠 絶對 無限)을 관조(觀照)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즉 다산 정약용은 말년에 와서 철학적이며 종교적인 사색에 잠기는 일면을 우리에게 기록으로 남겨준다고 하겠으니, 초기에는 정치, 경제, 의학, 역사, 문학 등에 몰두하였던 것과는 달리, 1830년경, 즉 이 발문을 쓰면서 그는 영원 무한의 세계에 있는 절대자의 경지를 관조하고 있는 것이다.
 
**************************************
 
그러면 이제 각 문귀의 뜻을 대강 분석 음미하였으니, 필자의 전체적인 새 번역을 참고삼아 한번 읽어보면 다음과 같다.
 
[한 평생을 살다보니 어쩌다가 죄수가 되어 감옥살이까지도 하게 되었다. 그래도 죽음은 모면하게 되어 급기야는 세상에 다시 나오게 되었다. 30여 년이 흘러가는 동안에 강산은 옛날과 마찬가지이고, 푸른 하늘과 흰 구름이 떠도는 그림자도 변함이 없건마는, 그 옛날 어질던 스승님들과 선배들, 그리고 절친했던 친구들은 다 어디로 가버렸기에 하나도 만나볼 수가 없단 말인가! 이렇게까지 된 것은 바로 내 자신이 아무데도 연접이 안 되어 쓸데없는 나무토막이나 돌덩이의 신세가 되어, 이리 굴러다니며 넘어지고, 저리 굴러다니며 처박히곤 하고 있는 동안에, 아! 슬프구나! 모두들 뜻밖에도 불의에 세상을 떠나게 되었구료! 만천공의 행적 중에는 빛나는 儷文體로 쓰인 글들이 적지 않았었다. 그러나 불행이도, 심지어는 불에 타서 없어지기까지 하였으므로, 그 여러 원고 중에 단 한 장도 얻어 보지 못하고 있던 터인데, 천만 뜻밖에도, 詩文의 원고와 갖가지 기록과 단편적인 글귀가 몇 가지 남아있기에, 비록 졸필로나마 이를 추려서 뽑아 베껴서 기록하여 두고자 하여, 우선 「만천유고」라고 제목을 붙이고 보니, 이는 마치 동풍에 얼음이 녹아 풀리고, 다 썩은 고목도 봄을 만나면 새 싹을 틔우게 되는 것과 같은 이치이며, 모두가 위에 계신 주님의 넓고 크고 가없는 섭리로구나! 우주 안에 있는 참된 이치가 다 이와 같아서, 물리(物理)가 바로 철리(哲理)임을 깨달아 안다는 것은 위에 계신 주님의 뜻에 접촉함이나 다를 바가 없는 것이다. 영원한 무한을 바라보고 있는 자가 썼다.」
 
*******************************
 
그리고 이왕에 만천유고에 관하여 이야기가 났으니, 한 가지 더 지적하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십계명가(十誡命歌)의 작자(作者)에 관해서다. 위의 두 학위논문과 단행본 등에서, 丁選菴(정선암)을 丁巽菴(정손암)으로 잘못 읽어가지고, 세 가지 책에서 모두, 십계명가의 저작자를 손암 정약전(巽菴 丁若銓)이라고 똑같이 수차 거듭 말하고 있고, 이것이 인용되는 문헌마다 같은 틀림이 거듭되고 있음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십계명가의 제목 밑에 쓴 글씨는 분명히 巽菴이 아니라, 選菴이며, 따라서 정약전(丁若銓)이 아니라, 정약종(丁若鍾)이 십계명가의 저작자임을 밝혀야 하겠으며, 거듭 인용되는 오류를 막아야 하겠다.
 
-이상이 1979년 9월호 월간 天眞菴 제17호에 발표된 필자의 글인데, 그 후, 무혈의 순교, 우리 사회가 나아갈 길, 등, 여러 책자에 위의 만천유고 번역문은 실려 있다. 벌써 30여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런데 아직도 蔓川遺稿 발문 독해를 제대로 못하는 이들이 있다.
 
  이상은 필자가 35년 전(1979년)에 썼던 글이라서 모두 다 지금의 용어로 손질하기가 일이 많아 거의 그대로 여기에 다시 올렸으나, 오는 8월 5일, 정약용 탄생기념일을 앞두고, 천진암 성지에서는  '茶山'이라는 말보다, 지금, [文度公 요한 丁若鏞 承旨]라고 정중하게 부르고 있음을 알립니다.
- Msgr. Byon-

Writer : Msgr. Byon    Date : 2014-07-16 09:33   Hit. 5263
다음글 : 南北 統一憲法 제정하자고? 국민들의 良心과 常識을 먼저 치료하여 살려야 !
이전글 : 교황 성하의 한국방문 계획과 천진암 성지의 한국천주교회 창립기념일 행사 의미와 가치와 교훈 !
우리나라천주교회창립사
천진암성지 소식지(2019년 1월호)
ebook 목록